유튜브 영상 요약 / / 2024. 3. 11. 07:21

[유튜브 영상 요약] 갚아도,갚아도 없어지지 않는 빚의 비밀, 금융의 덫 요약

반응형

갚아도,갚아도 없어지지 않는 빚의 비밀, 금융의 덫│돌아가는 원리를 모르면 절대 벌 수 없는 돈│자본주의 심층분석│경제다큐│다큐프라임│#골라듄다큐

 

 

목차

1.💸자본주의 세상 속 돈의 역할과 미국 금융 시스템에 대한 이야기
2.️💰왜 물가는 오르고 그 원인은? 돈의 양 증가때문
3.💸'돈'은 은행에서 대출을 통해 생긴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.
4.️💰은행이 대출을 한다? '부분 지급 준비율' 원리로 가능.
5.️🔐 금세공업자와 보관증으로 인해 발생한 16세기 영국의 이야기
6.🏦은행이 가장 두려워하는 뱅크런 현상의 시초
7.️💰은행과 신용창조
8.💵은행의 예금이 점점 증가하면서 새 돈이 만들어진다.
9.💸한국의 통화량 증가와 물가 상승, 금값을 통한 인플레이션의 위험성
10.️💰중앙은행의 역할을 이해하고, 이자 조절에 따른 금융시장의 영향을 알아봅시다.
11.️💰중앙 은행이 계속해서 돈을 찍어내게 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플레이션
12.💰짐바브웨 달러 하이퍼 인플레이션
13.🏦 현대 금융 시스템의 이자 보존 법칙
14.📉일이 연속적으로 벌어지다 보면, 대량 부도와 디플레이션이 초래될 수 있다.
15.💰디플레이션으로 인한 거품 및 경제 위축.
16.📉🌊자본주의 경제에서의 콘드라 파동과 그로 인한 금융 위기
17.💰미국 금융위기 사이로, 전 세계는 아직도 어두운 불의의 터널 속에 있다.
18.💰브레튼 우즈 협정과 닉슨 대통령의 금 독점 요인으로 달러는 세계 기축 통화가 됨
19.️💰미국 달러는 민간은행에서 찍어냄.
20.💰미국의 금융이 세계의 운명을 결정하는데, 이를 이해하지 못하면 희생자가 될 수밖에 없다.

 

1. 자본주의 세상 속 돈의 역할과 미국 금융 시스템에 대한 이야기

- 돈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생존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.
- 믿거나 싫어하거나, 금융 시스템은 전 세계에서 거의 동일하게 적용되고 있다.
- 미국과 영국으로부터 시작된 금융 업계의 원리는 대체로 전 세계에서도 해당된다.
- 하지만 돈에 대한 정확한 정의는 여전히 의문이다.
- 따라서, 먼저 돈에 관련된 이야기를 통해 금융 업계에 대해 알아볼 필요가 있다.

 

2. ️왜 물가는 오르고 그 원인은? 돈의 양 증가때문

- 한때 15원이던 짜장면이 요즘에는 4,500원으로 인상되었다.
- 그리고 1억짜리 아파트 가격이 갑자기 2억으로 오르는 경우도 *공급 부족* 이외에 적지 않은 금융적 요인도 있었다.
- 가격이 오르는 것은 수요보다 공급이 부족할 경우에 일어난다기 보다는, 실제 이유는 *동전량의 증가* 때문이다.
- 한때 15원 짜장면이 4,500원으로 오른 이유, 물가는 왜 오르는지에 대한 이유를 음악과 함께 알려드린다. (음악)  통화량이 많아져서 돈의 가치가 떨어지는 결과로 물가가 오를 수 밖에 없어진다.
- 즉, 단순히 공급과 수요의 법칙뿐 만 아니라, *자본주의적인 시각에서 돈* 의 양이 급격히 증가하면 물가 역시 오를 수 밖에 없다는 것이다. 

 

3. '돈'은 은행에서 대출을 통해 생긴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.

- 대부분이 지폐와 동전으로 생각하지만, 사실상 대부분은 은행에 숨겨져 있다.
- 한국은행이 조폐공사에서 100원을 찍어 시중은행에 제공하고, 이를 대출해주면서 은행에서 새로운 '돈'을 생성한다.
- 은행이 이 돈으로 대출을 하면, 그 금액을 다시 대출해줄 수 있어 시중에 있는 돈은 실제로 원보다 훨씬 많다.
- 각 은행은 동일한 금액을 모두 대출하지 않고, 이를 약속으로 해 둔 것으로 10원만 남겨둔다.
- 이렇게 은행들이 대출을 하면서 생기는 '돈'의 변화로 인해, 은행의 시스템은 수학적 방식으로 운영된다.

 

4. ️은행이 대출을 한다? '부분 지급 준비율' 원리로 가능.

- 정부와 은행이 약속한 바에 따라 은행은 대출 금액을 넘는 예금 0원도 대출해줄 수 있다.
- 한국어로 '지급 준비율'이라 불리는 이 원리를 캐나다의 경제학자 스 넬슨이 다룬 책 '거시 경제학'에도 나와 있다.
- 하지만 지급 준비율이란 원리는 예전부터 있었으며, 1963년 미국 연방준비은행이 만든 업무 매뉴얼 '현대 금리'에도 나와있다.
- 지급 준비율은 예금한 고객이 다시 돈을 찾아갈 것에 대해 비해서 은행이 쌓아두어야 하는 돈의 비율을 말한다.
- 한 마디로 은행은 예금한 돈 중 10%만 유지하면 나머지 돈을 대출할 수 있다.

 

5. ️ 금세공업자와 보관증으로 인해 발생한 16세기 영국의 이야기

- 16세기 영국에서는 금세공업자가 얼마든지 가져갈 수 있는 보관료를 받고 귀중품을 보관해주었다.
- 금을 훨씬 휴대하기 편하게 만들기 위해 금세공업자는 금화로 만들어서 사람들에게 빌려주고, 대출 받은 사람들은 이자로 금세공업자에게 이익을 가져다주었다.
- 금세공업자가 많은 돈을 벌면서 사람들은 그것을 수상하게 여겼다.

 

6. 은행이 가장 두려워하는 뱅크런 현상의 시초

- *은행이 가장 두려워하는 일인 뱅크런 현상*이 시초가 되는 금세공 업자들의 고사를 다룬 내용.
- 금세공 업자들은 자신들 금로 대출을 해주고 이자를 받았으며, 다시 머리를 써 어려울 때 다른 사람이 돈을 빌리는 것, 즉 대출 수입에 의존하여 대규모 자금을 축적한다.
- 그러나 금세공 업자들이 지시불능으로 빠진 결과 몇몇 부유한 예금주들이 은행에서 집단으로 돈을 인출하는 현상이 발생하여 은행이 붕괴 위기에 처하게 된다.

 

7. ️은행과 신용창조

- 영국 왕실은 세배까지 대출할 수 있도록 허가해주어 은행설립을 허용했다.
- 은행은 지급준비율을 이용해 돈을 마음대로 릴 수 있게 되었다.
- 이 때문에 은행은 계속해서 신용 창조를 통해 새 돈을 발행할 수 있게 되었다.
- 이 과정은 현대 은행 시스템에도 적용되며, 돈이 무한히 불어나는 현상을 보여준다.
- 은행은 취급 준비율이 적을수록 더 적은 돈만 남기면 된다.

 

 

 

 

 

8. 은행의 예금이 점점 증가하면서 새 돈이 만들어진다.

- 한국의 현재 지급 준비율 평균은 3.5%이다.
- 한국 은행이 애플 은행에 5천억 원을 대출로 공급하는 경우, 은행은 예금 중 1,166억 3천만 원을 지급 준비금으로 떼어 놓는다.
- 통장 예금에서 대출로, 대출에서 다른 은행의 예금 계좌로 지속적으로 돈이 이동되면서 은행 예금이 증가한다.
- 이 과정에서 대출한 경우에는 모두 6조 60억 원이 된다.

 

9. 한국의 통화량 증가와 물가 상승, 금값을 통한 인플레이션의 위험성  

- 한국의 통화량 증가율과 물가 상승율의 기울기가 비슷하여 통화량이 많아질수록 물가* 인상이 발생*한다는 그래프를 비교하여 설명했다. 
- 또한 금값을 통해 물가 인상 정도를 확인할 수 있는데, 1970년 1,000달러로 구매할 수 있던 금의 양이 현재는 겨우 48분의 1밖에 되지 않는 것으로 나타났다.
- 그리고 이는 통화팽창, 즉 통화량 증가로 인한 인플레이션의 일종으로 볼 수 있다. 
- 그러므로 이러한 경제 이슈를 알아야 미래 지향적인 경제 판단과 투자에 도움이 된다.

 

10. ️중앙은행의 역할을 이해하고, 이자 조절에 따른 금융시장의 영향을 알아봅시다.

- 은행이 대출을 해서 돈을 받을 때, 대출 금액의 원금은 중앙은행이 제공한다.
- 중앙은행은 이자와 화폐를 찍어내는 권한으로 통화량을 조절한다.
- 이자율 조절은 중앙은행이 시중의 통화량을 조절하는 방법 중 하나이다.
- 하지만 효과가 없을 때는 양적 완화라는 말로 불리는 직접적인 재정정책을 통해 시중에 돈을 풉니다.
- 그러나 중앙은행이 돈을 찍어내는 근본적인 이유는 있는데, 이는 무엇일까요? 

 

11. ️중앙 은행이 계속해서 돈을 찍어내게 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플레이션

- 로저 랭 그릭이 제시한 이론으로, 섬에 있는 중앙은행이 발행한 돈의 이자를 갚기 위해 다시 돈을 찍어내게 되는 것으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한다.
- 인플레이션은 물가상승과 돈의 가치 하락으로 이어지며, 이 영상에서는 인플레이션의 위험성을 경각심을 주는 측면에서 이야기하고 있다.
- 더 많은 돈을 찍어내게 되면, 물가가 상승하여 인플레이션이 발생하기 때문에 지금 당장은 좋아보이는 이득이 뒤로 갈수록 위험해질 수 있다.
- 어느 정도는 인플레이션이 발생해야 하는 것은 사실이지만, 집중적으로 인플레이션을 일으키는 것은 국민에게 치명적일 수 있으므로 경제 당국은 인플레이션 관리를 철저히 해야 한다.
- 인플레이션에 대해 제대로 모르고 있는 경우가 많으므로, 인플레이션의 위험성을 알리는데 이번 영상이 도움이 될 수 있다.

 

12. 짐바브웨 달러 하이퍼 인플레이션

- 2008년 하이퍼 인플레이션 상태였던 짐바브웨에서, 한 해 최고 2억 31만 라는 상상 초월한 물가 상승률을 기록한 짐바브웨 달러가 있습니다.
- 무가의 대통령의 무지한 정책이 그 원인이었는데, 극심한 실을 극복하고 체를 상하기 위해 너무나 많은 화폐를 찍어서 국고로 썼습니다.
- 이를 통해, 돈을 벌리는 중앙의 역할과, 과도한 하이퍼 인플레이션에 대한 문제점을 알 수 있습니다.

 

13.  현대 금융 시스템의 이자 보존 법칙

- 현대 금융 시스템의 이자 보전 법칙은 빚을 갚으면서 순환되는 구조이다.
- 하지만 이자가 없기 때문에 파산하는 사람도 있을 수밖에 없다.
- 빚을 줄이고 생활 패턴을 고려해야 함.
- 모든 돈의 출발점은 빚부터 시작되므로 경쟁이 필연적이다.
- 우리는 살아남기 위해 저마다 경쟁하며 돈을 벌어야 한다.

 

14. 일이 연속적으로 벌어지다 보면, 대량 부도와 디플레이션이 초래될 수 있다.

- 일이 연속되면서 시중의 돈이 줄어들고, 돈이 부족해지면서 대량 부도 사태가 발생한다.
- 이러한 상황에서는 파산이 불가피하며, 통화량도 줄어들어 디플레이션 상태가 된다.
- 이를 역전하기 위해서는 원화 발행을 살펴볼 필요가 있다.
- 하지만, 과도한 발행은 인플레이션을 초래하므로 올바른 정책이 필요하다.

 

15. 디플레이션으로 인한 거품 및 경제 위축.

- 디플레이션 발생 시, 돈의 유통이 줄어들어 거품이 터지고 기업은 위축된다.
- 생산과 투자가 감소되며 일자리가 부족해지고 돈을 벌기가 힘들어진다.
- 인플레이션으로 만든 돈, 빌린 돈의 영향으로 디플레이션이 싫어지는 경향이 있다.
- 경제도 사계절이 있는데, 디플레이션은 인플레이션 후에 찾아오기 때문에 예측이 어렵다.

 

 

 

 

 

16. 자본주의 경제에서의 콘드라 파동과 그로 인한 금융 위기

- 1925년 러시아의 니콜라이 콘드라티예프는 자본주의 경제에 장기 순환 주기가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했다.
- 페터는 이를 콘드라 파동이라 하며, 물결처럼 상승과 하락을 반복한다고 주장했다.
- 미국의 콘드라 파동 주기의 겨울은 2000년부터 이미 시작되었다.
- 금융 위기의 시작은 2007년 이자율의 급격한 하락으로 인해 디플레이션의 절정을 보여주었다.
- 금융 위기가 일어나면 빚을 갚지 못하는 사람들이 속출했고, 부동산 가격이 하락하면서 금융 위기가 시작되었다.
- 우리나라에도 비슷한 상황이 있었는데, 부동산 가격이 계속 떨어지고 금융 위기가 해결되지 않아 젊은 사람들의 취직도 어려워졌다.

 

17. 미국 금융위기 사이로, 전 세계는 아직도 어두운 불의의 터널 속에 있다.

- 영국의 시사주간지 인텔리전트 Life와 뉴욕 금융정보업체 Bloomberg은 연일 금융위기 관련 뉴스를 쏟아내고 있다.
- 하지만 아직 불의의 터널도 밝혀지지 않았으며 우리나라 또한 마찬가지라는 점을 인지해야 한다.
- 미국에서 일어나는 일은 언젠가는 세계적 파장을 불러일으키기 때문에 불안감을 느끼는 것이다.

 

18. 브레튼 우즈 협정과 닉슨 대통령의 금 독점 요인으로 달러는 세계 기축 통화가 됨

- 국제무역이 활성화될 목적으로 1944년 미국을 중심으로 세상 모든 돈 중 가장 의미 있는 달러로 외환금융 시장을 안정시키고 결제 수단으로 쓰이도록 브레튼 우즈 협정을 맺게 됨.
- 하지만, 달러 가치 하락으로 인한 금과의 교환 요구에 지속적으로 대응하기 어렵게 되자, 1971년 미국 닉슨 대통령이 금 독점정책을 선언하면서 달러는 금과 상호 대체 가능한 포기물로 전환됨.
- 이로 인해 미국은 언제든 돈을 만들 수 있는 권한을 지니게 되면서, 달러는 세계 기축 통화로 자리 잡게 된 것.
- *브레튼 우즈 협정과 닉슨 대통령의 금 독점 요인은 달러의 세계 기축 통화로서의 지위를 결정하는 데 중요한 역할을 했다.*

 

19. ️미국 달러는 민간은행에서 찍어냄.

- 미국 달러는 민간은행에서 생산하며, 연방 준비은행 (FRB)이 이를 찍어내고 발행한다.
- FRB은 미국 정부 기관이 아니라 민간 기업을 의미한다.
- 일부 금융 자본이 세계를 지배하는 현상이 존재할 수 있으며, 미국 달러는 세계에서 막강한 힘을 가지고 있다.
- 그러나 새로운 대체 화폐를 찾는 등 미국에 대한 의존도를 떨어뜨리기 위한 이야기는 있어도, 어떤 국가도 미국 달러에 대한 경제적 종속성을 피할 수 없다.

 

20. 미국의 금융이 세계의 운명을 결정하는데, 이를 이해하지 못하면 희생자가 될 수밖에 없다.

- 자본주의 시대에서 돈은 빚이 되는데, 위험을 이해하지 못하면 나와 가족의 희생자가 될 수 있다.
- 미국이 어떻게 움직이고, 그래서 한국의 정책은 어떻게 되는지 생각하며 금융 원리와 정책 변화를 파악해야 한다.
- 현재는 디플레이션 시대이기 때문에, 빚을 내라는 유혹에 매여 자제하는 습관을 가지자.
- 위험과 함께 하기 위해 전체의 그림을 보는 안목이 필요하며, 마침내 추운 겨울을 잘 이겨내면 반드시 따뜻한 봄이 올 것이다.

 

https://youtu.be/2rO8_2gJKjc?si=vBk4r2XzrcSNIbCQ

 

 

반응형
  • 네이버 블로그 공유
  • 네이버 밴드 공유
  • 페이스북 공유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